양악 vs 국악 연주홀..달라도 너무 다르다
뮤지컬과 오페라의 기본적인차이는? 현대음악에서 다양한 변주, 마이크를 쓰는 뮤지컬 배우의 발성이 정확한 딕션을 자랑하는 반면 마이크를 쓰지않는 성악가의 발성이 울림은 크면서 발음이 뭉개지는이유다. 악기 연주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난다. 악기간 음량 차이를 마이크로 극복하면 키보드와 전자기타, 드럼을 똑같이 한 무대에 1대만 배치하면 되지만 이런 도움없이 악기소리를 객석 끝까지 전덜하려면 음량 작은 악기는 숫자를 늘려야한다, 관악기 1대에 바이올린을 20대씩 배치하는 전통적인 오케스트라 편성을 생각하면 쉽다. 이 때 공연장은 각 악기별 소리가 섞이는 "울림통" 역할을 한다. 악기 종류, 연주법 마다 적합한 공연장이 달라야 하는 이유다 서울 돈화문 국악당 내부 전경 비원 맞은 편 돈화문 국악당 외관 마이크를 쓰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소리를 들려주는 연주홀이 서울에 잇따라 문울 연다. 지난 8월19일 클래식 전용 공연장 롯데콘서트홀(2,036석)이 문을 연데 이어 9월1일 서울 창덕궁앞에 자연음향 국악 공연장인 11월에는 서초동 국립국악원 우면당(348석)이 재개관한다 2013년 4월 문을 연 풍류사랑방에 이은 국악원의 두번째 자연 음향 공연장이다 전문가들은 똑같은 자연 음향 공연장도 음악 장르에 따라 좋은 음향"의 기준이 확연히 다르다고 입을 모은다. 명당도 당연히 다르다 우선 양악(洋樂)과 국악(國樂) 악기의 태생 배경이 다르다. 양악은 잔향, 국악은 명료도 최준혁 상명대 뮤직테놀로지과 교수는 "서양은 가옥이 크고 석재, 목재 같은 재료를 써 주거 공간에 울림이 많은 반면 이런 환경에서 각 악기가 발전해 왔다.고 설명 한다. 자연음향 공연장을 표방한 서울돈화문국악당의 지난달 시범 공연 모습 클래식 악기는 공간 울림을 최대한 활용한다. 편곡도 연주음이 블렌딩되는 방식을 쓴다. 반면 국악기인 가야금, 거문고는 현을 손으로 튕겨 명료한 소리를 내는데 방점을 둔다. 악기별 소리도 거의 섞이지 않는다. 최 교수는 "클래식 공연장이 2,000석 넘는 대규모로도 지어지는 반면 요컨데 양악 연주홀의 경우 긴 잔향을 좋은 음향의 첫쨰 조건으로 친다면, 한찬훈 충북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한 교수가 꿉은 잔향 기준은 양악은 1.4초 이상, 국악은 0.8~1.0초다. 전문가에 따라서는 국악 연주홀의 적정 잔향을 0.6초로 제시하기도 한다. 실제로 예술의 전당 콩서트홀 잔향이 2.0초. 롯데콘서트홀 잔향이 2.6~3.1초인데 비해 반면 이상적인 음의 명료도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의 명료도는 0.11~2.53dB이다. 국립국악원 우면당 리모델링 후 예상도 양악은 중간, 국악은 무대 앞 스테레오로 들리는 양악은 잔향 만큼이나 중요한 요소로 음향 좋은 좌석 역시 양악과 국악이 다르다. 양악은 객석 정중앙과 벽을 피한 중간자리가 가장 좋다. 정중앙은 소리 확산감이 적고, 벽과 가까운 자리는 반사음의 지연시간이 짧아 국악연주는 음량이 작고, 불렌딩 현상이 적기 때문에 "무대 바로 앞이 가장 좋다. 국악 공연장의 경우 100~300석 소규모이기 떄문에 발코니석이 아예 없다. "충북대 한찬훙 교수 "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음향특성 연구보고서(2014년)
마이크 써온 국악기 개량 필요 국악의 경우 연주홀 만큼이나 악기와 편성 개선도 필요하다. 국악 전문 연주홀이 서양의 콘서트홀 처럼 오케스트라, 실내악, 독주 등 장르를 세분화해서 지어야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전문가는 "연주홀 음향 측정 때 가야금 연주가 피리 소리에 완전히 묻히는데도 연주자들이 자기 연주만 하더라. 피리 한 대에 가야금 여러 대를 편성하던지, 피리에 약음기를 달아 음량을 줄이던지 개선이 필요하다. 이런 개선 없이 자연 음향 공연장이 지어져 막상 여주자들이 마이크없이 연주하는 걸 겁낸다"고 지적했다. 국악기 중 음량이 큰 피리, 꽹과리, 징 등은 원래 야외에서 연주하던 걸 실내 공연장으로 들여온 경우다. 문제는 "사랑방 악기"인 가야금, 거문고와 징, 피리가 서양식 공연장에서 함께 연주 되면서 악기별 음량 편차를 마이크로 손쉽게 해결하는게 관행이 됐다는 점이다. 국악 "라이브" 연주를 굳이 스피커를 통해 들어야 하는 웃지 못할 풍경이 반복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새로 문을 여는 돈화문국악당은 독주와 10인조 내외의 국악 앙상블 공연을 주로 연다는 계획이다. 양악으로 치면 실내악 공연을 지향하는 셈이다. 국립국악원은 9월6일 예술의전당에서 국악관현악 음향평가회를 열어 7곡을 선보인 뒤 전문가 그룹의 의견을 들어 '마이크 없이' 연주할 수 있는 국악관현악곡을 만들 계획이다 ![]() 국립국악원 우면당 외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