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당 단팥빵의 비밀, 알지만 흉내를 못내
전북 군산에는 빵이 나오는 시간이 가까워지면 손님들이 줄 서는 빵집이 있다.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빵집 이성당(李盛堂)이다. 손님들의 줄서기는 캄캄한 밤에도, 비가 내리는 날에도, 혹한의 추위에도 그 시간만 되면 어김없이 되풀이된다. 연휴나 주말에는 행렬이 구 시청 사거리를 돌아 끝이 멀찌감치 보일 정도로 이어진다. 그 진풍경을 본 사람들은 '대단하다', '놀랍다', '참 별스럽다', '요지경이다' 등의 감탄사를 터뜨린다.
줄서기는 모닝 세트가 나오는 오전 7시부터 밤까지 하루에 몇 차례 반복된다. 주말에는 대열을 이루는 사람들의 80~90%가 외지인이다. 그들은 빵 맛을 보기 위해 짧게는 30분, 길게는 1시간 넘게 기다린다. 피곤하고 지루하기도 하련만 개의치 않는다. 오히려 기다림을 즐긴다. 친구와 수다를 떠는가 하면 스마트폰으로 인증샷을 찍거나 셀카봉을 들고 'V'자를 그리며 이리저리 포즈를 취하는 등 '단팥빵'만큼 고소하고 달콤한 추억을 만든다.
1950~1960년대 대표 메뉴는 '단팥죽'과 '꿀단지'
이성당은 해방되는 해(1945) 문을 열었다. 미디어보다 입소문 영향이 더 컸던 시기인 1950~1960년대.
당시 이성당은 '이 과자점', '이성당 빵집', '이성당 아이스케키집' 등으로 불렸다. 일제 강점기 양과자점, 화(和)과자점 등으로 불리던 군산의 제과점들은 해방 후에도 다양한 빵과 함께 제과점들이 입구와 내실에 홍보 전단을 붙여놓고,
이성당에는 계절 특별 메뉴가 있었다.
여름에는 팥빙수와 아이스크림, 겨울에는 단팥죽과 꿀단지(변화된 단팥죽)가 데이트족들을 끌어 들였다. 특히 앙증맞게 생긴 둥근 찻잔에 따끈하게 담아 내오는 '꿀단지'는 한때 이성당의 트레이드 마크가 되기도했다. 설탕물을 최고 피로 회복제로 여기던 시절, 침샘을 자극하며 입안 깊숙이 느껴지는 단맛과 그 윽한 계피향은 사람들의 입맛을 유혹하기에 충분했다. 정부가 결혼식 축하객에게 음식 접대를 못 하게 막았던 1960~1970년대.
'역전의 명수'들 미팅 장소가 되기도
군산에서 성장한 기성 세대 뇌리에 빵집 이성당은 어떤 모습으로 남아 있을까.
40여 명 중 '스물이 넘도록 한 번도 가보지 못했다'와 '학창 시절 급우를 따라 한두 번 가봤다'는 대답이 80% 이상을 차지했다. '어렸을 때 설레는 마음으로 어머니 손잡고 따라가 빵이랑 빙수랑 아이스케키랑 사 먹었던 추억이 있다'는 답변도 간혹 있었다. 야구 명문 군산 상고 출신 '역전의 명수'들 가슴에 남아 있는 '이성당의 추억'은 애틋했다. 송상복(스마일피처), 김성한 전 한화 수석 코치는 가난해서 출입할 엄두도 내지 못했다고 했고, 조규제와 배터리를 이뤘던 이성일 도 의원은 야채빵과 곰보빵 맛을 지금도 잊지 못한다며 침을 꼴깍 삼키는가 하면, 김준환 원광대 감독은 지금의 아내를 처음 만난 뜻깊은 장소로 기억했다. 여고생들과 미팅을 몇 차례 해봤다는 김봉연 극동대 교수 얘기를 들어본다. "1972년 황금사자기 우승하고 야구 좋아하는 군산여고 학생들을 이성당에서 몇 차례 만났죠. 김 교수는 "해태 타이거즈 시절 성금 모금 이벤트에 참여했다가 해방 후 군산에는 이성당을 비롯해 황금당, 진미당, 군산당, 백만당, 태극당, 금주당, 조화당 등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해외 수출 시장 열어
이성당은 지금의 김현주 사장이 2003년 취임하고 2006년부터
밀가루 대신 쌀로 만든 빵을 만들면서 전국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한다. 쌀빵은 그 시작이 '블루빵'이다. 조성용(김현주 사장 남편) 대두식품 대표가 일본 니가타 현에 있는 '겐리치' 제과점에서 전수받았다고 한다. 쌀과 빵을 접목하는 연구는 현재 진행형이다. 지금도 효모종을 이용한 다양한 쌀빵을 만들고 있다. 블루빵은 쌀, 물, 소금, 소량의 설탕만 들어간 웰빙 빵으로 알려진다. 조 대표는 2005년 군산에 쌀가루 전문 공장을 세운 후 '화과방', '햇쌀마루' 등 고유 브랜드를 개발한다. 어려서부터 어머니가 빵 만드는 모습을 보며 자란 조 대표는 1980년대 초 이성당을 물려받는다.
이성당 상징 메뉴는 야채빵과 앙금빵 김현주 사장 설명에 따르면 하루에 이성당에서 만들어지는 "저는 제품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 남편이 더 잘 알죠.(웃음)
김 사장 설명대로 야채빵은 고소한 소스에 버무린 양배추, 양파, 당근, 마요네즈 등 각종 야채로 가득 채워져 있다.
기름에 튀기지 않고 오븐에 구워내기 때문에 고소하면서도 자극적이지 않다. 택배를 주문하면 한 달여를 기다려야 한다는 야채빵. 가장 큰 특징은 담백하고, 아삭아삭 씹히는 채소의 질감이 그대로 살아 있어 먹을수록 맛이 당긴다는 것이다. 서울에서 친구와 함께 왔다는 안성희(31)씨 얘기를 들어본다. "지난 1일 군산에 도착해서 이성당으로 직행, 야채빵 두 개를 사 먹었는데, 맛이 좋았어요. 이성당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날 수 있는 게 단팥빵과 야채빵이다.
일본에서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는 단팥빵. 그러나 우리는 본디 팥을 좋아하는 민족이었다.
아주 옛날부터 팥죽, 팥떡, 팥밥 등을 영양식으로 해먹었고, 모든 빵과 빙수, 과자 등에 팥소가 들어가는 것도 그 이유일 터다. 조상들은 색깔이 붉은 팥을 악귀를 쫓아주는 곡식으로 신성시 여기기도 하였다. 동짓날 팥죽을 끓여 집안 벽이나 문짝에 뿌리면 해코지하는 귀신이 접근하지 못한다고 믿었던 것에서도 잘 나타난다. 극심한 가뭄과 메르스 여파로 경제가 바닥을 치는 등 작년보다 무덥고 짜증날 것으로 예상되는 올여름.
세월의 흔적이 느껴지는 이성당을 찾아 결코 되풀이되어서는 안 될 일제 식민지 역사와 우리나라 최고의 빵 맛을 체험해보는 것도 괜찮을 듯싶다. 무더위와 갈증 해소에 으뜸인 팥빙수도 빼놓을 수 없는 메뉴다.
|